발사

발사 смотреть последние обновления за сегодня на .

[오늘무슨일] 軍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발사 성공...민간 위성 탑재”

18761
882
42
00:01:15
04.12.2023

4일 제주 서귀포시 남방 해상에서 우리 군이 한국형 고체연료를 사용한 우주발사체 3차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 사실에 대한 믿음, 할 말을 하는 용기. 조선일보◈ 조선일보가 만드는 유튜브는 다릅니다. 구독! 좋아요! 공유하기! 는 사랑입니다❤ 🔸 조선닷컴 공식 홈페이지 🤍 🔸 조선일보 무료 구독 체험 🤍 🔸 당신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채널 '오!건강' 👉🏻 🤍 구독해주세요!! ◈◈◈ 조선일보 유튜브 제작협찬 및 제휴광고 문의 ◈◈◈ 👉🏻👉🏻👉🏻 ghm🤍studioghm.com 👈🏻👈🏻👈🏻 #조선일보 #뉴스 #속보 #제보

정찰위성 발사 성공…30cm 식별 해상도 | 뉴스A

10428
569
57
00:02:17
02.12.2023

정찰위성 발사 성공…30cm 식별 해상도 뉴스에이 시작합니다. 김윤수입니다. 우리 군 최초의 군사정찰위성이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우리나라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겁니다. 이 위성은 얼마 전 북한이 쏘아올린 위성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앞선 감시정찰 능력을 자랑합니다. 이로써 우리 군의 대북 감시망은 더욱 촘촘해졌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2년 안에 4기의 정찰위성을 더 쏘아올릴 계획입니다. 오늘의 첫소식, 워싱턴에서 이은후 특파원이 전합니다. ○ 기사 보기 🤍 ▶채널A뉴스 구독 🤍 [채널A 뉴스·시사 프로그램|유튜브 라이브 방송시간] 〈평일〉 08시 00분 라디오쇼 정치시그널 (유튜브 라이브) 08시 50분 김진의 돌직구 쇼 10시 20분 김진의 더라방 (유튜브 라이브) 12시 00분 뉴스A 라이브 15시 50분 강력한 4팀 17시 20분 뉴스TOP10 19시 00분 뉴스A 〈주말〉 12시 00분 토요랭킹쇼·뉴스A 라이브 17시 40분 뉴스TOP10 19시 00분 뉴스A #채널A뉴스 #정찰위성 #발사 ▷ 홈페이지 🤍 ▷ 페이스북 🤍 ▷ 카카오스토리 🤍

[#세상만사] 北, ICBM 발사 장면 뮤직비디오로 제작 / YTN

531390
4375
3338
00:03:27
25.03.2022

- 이 영상은 북한 조선중앙방송이 자체 제작한 것입니다 #北_ICBM_발사_뮤직비디오로_제작 #North_Korea_Missile_Music_video YTN 방병삼 (bangbs🤍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 ▶ 제보 하기 :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군,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3차 시험발사 성공 | 국방홍보원

123296
2678
399
00:02:54
04.12.2023

제주도 인근 해상에서 국방과학연구소의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기술을 활용한 민간 상용 위성 발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자막뉴스] 北 은밀한 움직임까지 포착...'핵심자산' 발사 성공 / YTN

128383
923
181
00:02:01
06.12.2023

우리 군의 3축 체계는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 KAMD와 킬 체인, 대량응징보복인 KMPR로 구성돼 있습니다. 2009년 북한의 2차 핵실험에 맞서 미사일방어체계 KAMD가 처음 도입됐고, 북한이 헌법 개정을 통해 핵보유국을 명시하고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3형을 공개한 2012년에 킬 체인 구축을 시작했습니다. 킬 체인은 북한의 핵 공격 임박 시 이를 무력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선제타격 개념은 여기에서 비롯됐습니다. 이를 위해 기존의 금강과 새매, 글로벌호크 등 감시정찰 자산에 더해 2014년 방위사업추진위에서 군사정찰위성 5기를 확보하기로 결정했고, 10년 가까이 지난 올해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한경호 / 방위사업청 1호 위성발사관리단장 : 이번 발사 성공으로 우리 군은 한국형 3축 체계의 기반이 되는 핵심 전력이자 독자적 우주감시정찰 능력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또 고체연료를 이용한 우주발사체 발사에 성공하면서 소형 정찰위성 확보 사업도 탄력을 받게 됐습니다. 킬 체인은 억제가 주요 목표지만 확전을 부를 수 있는 선제타격 개념이 포함된 만큼 무엇보다 정확한 정보 획득이 중요해 정찰위성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지상과 해상, 공중과 우주 등에 다층적이고 다방면 감시체계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신종우 / 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 킬 체인은 적의 공격 징후를 사전에 탐지해 선제공격으로 무력화하겠다는 것으로 이동식 발사대 등의 움직임을 탐지하기 위해 정찰위성 자산이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킬 체인의 감시체계는 특히 유사시 미사일 방어망과 대량응징보복 수단에도 사전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의 핵심 조건으로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YTN 김문경입니다. 영상편집ㅣ윤용준 그래픽ㅣ이원희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북, 정찰위성 발사‥"괌 기지 촬영" 성공 발사 주장 (2023.11.22/뉴스데스크/MBC)

7166
73
48
00:02:42
22.11.2023

빠르면 오늘 군사 정찰위성을 쏘겠다고 했던 북한이 어젯밤 기습적으로 위성을 발사했습니다. 지난 5월과 8월 두 차례 발사에서 실패를 인정했던 북한이 이번엔 위성을 궤도에 정확히 진입시켜 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하게 위반했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 #북한 #정찰위성 #국방부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제주 해상서 3차 시험 발사 성공 / KBS 2023.12.04.

30502
323
84
00:02:07
04.12.2023

우리 군이 처음으로 고체연료 추진 발사체를 이용해 소형 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지난해 말 UFO 소동을 빚었던 2차 시험 발사 때는 위성 모형을 실었었는데, 일 년 만에 이뤄진 3차 발사에서 실제 위성을 쏘아 올린 겁니다. 임종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제주 해상에 설치된 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우주발사체가 발사됩니다.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한 고체연료 추진 발사체가 하늘로 날아오르는 겁니다. 국방부는 오늘 오후 2시 민간 상용 위성을 실은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의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시험 발사는 지난해 3월과 12월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입니다. 위성 모형을 싣고 추력이 가장 큰 1단 추진체 없이 발사했던 1, 2차 시험 발사와 달리 이번에는 1단 추진체와 실제 위성까지 탑재했습니다. 고성능 영상레이더를 탑재한 100킬로그램급 소형 위성으로 한화시스템이 만들었습니다. 군은 3차 시험 발사도 실물이 아닌 모형을 실으려고 했지만 한화시스템의 위성 개발 시기가 맞물리면서 실제 위성 탑재가 가능했다고 전했습니다. 가장 큰 추력을 내는 1단 추진체의 성능 검증이 이번 시험 발사의 목표라며, 핵심 기술 달성을 입증했다고 군은 평가했습니다. 특히 우리 발사체는 북한의 고체연료 ICBM인 화성 18형에 비해 추력이 1.5배 정도 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방부는 고체 발사체의 경우 액체 발사체에 비해 구조가 단순해 운용이 쉽고 적은 비용으로 신속 발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방부는 특히 북한이 UN 안보리 결의를 위반해 정찰위성을 발사하는 등 안보위협을 지속하고 있는데, 이번 발사 성공은 한국형 3축 체계의 핵심인 우주 기반 감시정찰능력 확보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KBS 뉴스 임종빈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영상편집:이진이 ▣ KBS 기사 원문보기 :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 이메일 : kbs1234🤍kbs.co.kr #고체연료 #발사체 #국방부

고체연료 기반 우주발사체 3차 시험발사 성공...소형 위성 궤도 안착 / YTN

77464
760
201
00:02:37
04.12.2023

[앵커] 국방부가 오늘 세 번째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시험발사에 성공했습니다. 제주도 부근 해상에서 쏘아 올렸는데, 이제 최종 발사만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국방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문경 기자! [기자] 네, 국방부입니다. [앵커] 군 당국이 지난주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이어 이번에는 고체연료 기반의 우주발사체 시험에 나섰군요? [기자] 네, 국방부는 오늘 제주도 남쪽 해상에서 4㎞ 떨어진 바지선에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3월과 12월 두 차례 시험발사했고, 이번이 3번째인데, 추진체에 실은 위성도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했습니다. 지난해 2차 발사 때는 1단 추진체 없이 2, 3단으로 발사체를 쏘아 올려 고도 450㎞까지 올라갔는데요. 이번에는 최종 개발 단계에 해당하는 1단 추진체를 장착하고 4번의 단 분리를 거쳐 650㎞ 고도까지 올라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지난해 12월에는 발사체에 모형인 더미 위성을 실어 쏘아 올렸지만, 이번에는 실제 지구관측용 소형 위성을 탑재했습니다. 한화시스템에서 제작한 위성으로 레이더를 이용해 영상을 확보하는 SAR 위성인데, 해상도는 1m 남짓으로 정찰위성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위성의 무게는 101㎏ 정도로 약 650㎞ 고도에서 궤도에 안착했다고 국방부는 전했습니다. 국방부는 최종 발사 때는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제작한 위성을 넣을 예정인데, 모양과 크기도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궁극적으로는 무게가 500㎏에서 700㎏에 가까운 위성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고체 추진 발사체는 비용이 적게 들고 발사 준비도 수십 일이 걸리는 액체 추진 발사체에 비해 7일 이내로 짧은 장점이 있지만, 무거운 대형 위성을 싣기에는 불리하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고체연료 발사체는 유사시 안보 수요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소형 위성을 적기에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주 1호 군사정찰위성을 확보한 데 이어 이번에는 정찰위성에 버금가는 소형 위성을 발사하게 될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발사에 성공하면서 앞으로 좀 더 촘촘한 감시망을 확보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1, 2차와 달리 1단 추진체를 고체 연로로 하는 게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기술을 확보하려 하기 위한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 기반 기술은 같지만, 우주발사체와 ICBM은 목적이 다르다며 이를 부인했습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김문경입니다. YTN 김문경 (mk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 ▶ 제보 하기 :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북한 정찰위성 예고보다 빨리 쐈다…"성공 발사" 주장, 러시아 지원 결과? / SBS

40077
137
39
07:54:21
22.11.2023

북한이 어젯(21일)밤 10시 43분쯤 평북 철산군 동창리에서 군사정찰위성 쏘아 올렸습니다. 이지스함을 비롯한 우리 군 정보자산들이 북한 정찰위성 발사 과정을 집중 감시한 결과, 북한 정찰위성 발사체가 남해 먼바다 상공을 벗어날 때까지 비행 절차상 별다른 문제점을 드러내지 않았습니다. 북한은 정찰위성을 궤도에 진입시켰다고 주장했는데, 우리 군과 정보 당국은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위성 운반 로켓 기술 지원을 받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SBS뉴스 #8뉴스 #실시간 으로 만나 보세요 라이브 뉴스 채널 SBS 모바일24 ▶SBS 뉴스로 제보해주세요 홈페이지: 🤍 애플리케이션: 'SBS 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카카오톡: 'SBS 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페이스북: 'SBS 뉴스' 검색해 메시지 전송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 ▶SBS 뉴스 라이브 :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현장영상+] 땅을 박차고 우주로! 누리호 3차 발사 / YTN

1389530
9901
1502
00:05:11
25.05.2023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오후 6시 24분 발사 분석 이후 '누리호 비행 종료' 과기부 공식 발표 발사 80분 뒤 누리호 발사 성공 여부 발표 차세대 소형위성 2호, 지상국과 저녁 7시 54분에 첫 교신 "최종 위성 8기 교신 결과, 내일 오전 11시 발표" ▶ 기사 원문 : 🤍 ▶ 제보 하기 :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북한, 군사정찰위성 3차 발사..뉴스 특보 / SBS

73743
329
32
10:19:09
22.11.2023

북한이 오늘(22일) 새벽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습니다. 지난 5월과 8월 1, 2차 정찰위성 발사 이후 3차 시도입니다. 앞서 북한은 1, 2차 발사를 감행했지만 로켓 추진체 문제로 실패로 끝났습니다. 하지만, 지난 9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이후 '러시아 기술 이전'을 약속 받으면서 이번 3차 발사가 성공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북한 #군사정찰위성 #3차시도 #SBS뉴스 #뉴스특보 #실시간 으로 만나 보세요 라이브 뉴스 채널 SBS 모바일24 ▶SBS 뉴스로 제보해주세요 홈페이지: 🤍 애플리케이션: 'SBS 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카카오톡: 'SBS 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페이스북: 'SBS 뉴스' 검색해 메시지 전송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 ▶SBS 뉴스 라이브 : 🤍

한국 첫 정찰위성 발사 성공‥궤도 안착 후 교신 (2023.12.02/뉴스투데이/MBC)

8027
108
60
00:00:57
01.12.2023

우리나라의 첫 군사정찰위성이 오늘 새벽 미국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돼 첫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국방부는 "우리 군 군사정찰위성 1호기가 오늘 새벽 3시 33분쯤 발사체로부터 분리돼 목표 궤도에 진입했다"고 밝혔습니다. 🤍 #국방부, #정찰위성, #스페이스X

북한은 3m, 우리는 30cm…발사 성공 첫 정찰위성 10배로 정밀/ 연합뉴스 (Yonhapnews)

24906
234
89
00:02:21
02.12.2023

북한은 3m, 우리는 30cm…발사 성공 첫 정찰위성 10배로 정밀 (서울=연합뉴스) 한국의 첫 군사정찰위성이 2일 새벽 미국 밴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발사돼 우주궤도에 안착했고, 해외 지상국과 첫 교신에도 성공했습니다. 우리 군의 정찰위성 1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Ⅹ의 발사체 '팰컨9'은 한국시간 2일 오전 3시 19분(현지시간 1일 오전 10시 19분) 캘리포니아 소재 밴덴버그 기지에서 발사됐습니다. 국방부와 스페이스Ⅹ에 따르면 팰컨9이 발사되고 2분 22초 후에 1단 추진체가 분리돼 떨어져 나갔고, 이어 약 20초 후에 페어링(위성보호덮개)이 분리됐습니다. 발사 14분 뒤인 3시 33분에는 2단 추진체에서 분리된 정찰위성 1호기가 목표로 설정했던 우주궤도에 정상 진입했습니다. 오전 4시 37분께 해외 지상국과 처음으로 교신, 성공이 확인되는 순간이었습니다. 정찰위성 1호기는 고도 400∼600㎞에서 지구를 도는 저궤도 위성입니다. 전자광학(EO) 및 적외선(IR) 촬영 장비를 탑재하고 있으며, 촬영 영상의 해상도는 0.3m급으로 전해졌습니다. 지상 30㎝ 크기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어 3m급으로 알려진 북한 정찰위성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됩니다. 국방부는 앞으로 2025년까지 순차적으로 4기의 정찰위성을 더 쏘아올려 총 5기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영상으로 보시죠. 제작: 김건태·안창주 영상: 로이터·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TV·KAI (한국항공우주산업)·방위사업청 유튜브 #연합뉴스 #군사정찰위성 #발사성공 #펠컨9 #스페이스X #교신 #성능 #30cm #해상도 ◆ 연합뉴스 유튜브→ 🤍 ◆ 연합뉴스 홈페이지→ 🤍 ◆ 연합뉴스 페이스북→ 🤍 ◆ 연합뉴스 인스타→ 🤍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발사 성공‥상용 위성 탑재 (2023.12.04/5MBC뉴스)

1390
22
3
00:00:35
04.12.2023

우리 군 당국이 개발 중인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기술을 활용한 민간 상용 위성 발사가 오늘 오후 2시쯤 제주도 인근 해상에서 성공적으로 완료됐다고 국방부가 밝혔습니다. 이번 발사는 민간기업인 한화시스템 주관 아래 이뤄진 것으로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 중인 고체추진 우주발사체의 3차 시험발사를 겸해 진행됐습니다. 특히 모형 위성을 실어 발사했던 지난해 12월 2차 발사와 달리, 이번에는 실사용 위성을 실어 우주 궤도에 투입하는 데 성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크다고 국방부는 설명했습니다. 🤍 #고체추진우주발사체 #발사성공 #국방부

스페이스X 우주선 '스타십', 두 번째 발사도 실패 (2023.11.19/뉴스투데이/MBC)

18283
168
159
00:00:49
18.11.2023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대형 우주선 '스타십'의 두 번째 시험 비행에 나섰지만 우주 궤도 진입에 실패했습니다. 현지시간 18일 오전 7시 3분 미국 텍사스주 남부 보카 치카 해변의 우주 발사 시설에서 발사된 스타십은 발사 3분 뒤 2단 로켓의 아랫부분인 '슈퍼 헤비' 로켓이 분리되고 90km 상공으로 치솟았습니다. 🤍 #일론머스크, #스페이스X, #스타십

[속보] 軍, 고체연료 기반 우주발사체 3차 발사...소형 민간위성 탑재 / YTN

37093
312
109
00:00:59
04.12.2023

국방부는 오늘 제주도 남쪽 4㎞ 해상에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시험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성공 여부는 잠시 뒤 발표될 것으로 보입니다. 고체연료 추진 발사체는 지난해 3월과 12월 두 차례 시험 발사했고, 이번이 3번째입니다. 이번 발사에서는 민간 상업위성이 탑재돼 있다고 국방부가 전했습니다. 지난해 2차 발사 때는 1단 추진체 없이 2, 3단으로 발사체를 쏘아 올려 고도 450㎞까지 올라갔는데요. 이번에는 최종 개발단계에 해당하는 1단 추진체를 장착하고 4번의 단 분리를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더 높은 고도로 향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 지난해 12월에는 발사체에 모형인 더미 위성을 실어 쏘아 올렸지만, 이번에는 실제 지구관측용 소형 위성을 탑재했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최종 발사 때는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제작한 위성을 넣을 예정인데, 모양과 크기도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국방부는 고체 추진 발사체는 비용이 적게 들고 발사 준비도 수십 일이 필요한 액체 추진 발사체에 비해 7일 이내로 짧은 장점이 있지만, 무거운 대형 위성을 싣기에는 불리하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고체연료 발사체는 유사시 안보 수요에 즉각 대응이 가능하고, 소형 위성을 적기에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주 1호 군사정찰위성을 확보한 데 이어 이번에는 정찰위성에 버금가는 소형 위성을 탑재하게 될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시험 발사에 나서면서 앞으로 좀 더 촘촘한 감시망을 확보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YTN 김문경 (mk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 ▶ 제보 하기 :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中, 미국 제치고 세계 최초 메탄 로켓 발사 성공 / YTN

98196
747
552
00:02:04
14.07.2023

[앵커] 중국의 민간기업이 미국 기업들을 제치고 세계에서 처음으로 메탄 로켓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차세대 로켓 개발 기술로 주목받는 메탄 연료 이용에 성공한 건데, 이로써 중국은 우주 패권 경쟁에서도 힘을 얻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동은 기자입니다. [기자] '랜드 스페이스'로 알려진 중국 민간기업 '란젠우주항공'의 로켓 주췌 2호가 불을 뿜으며 하늘을 가로지릅니다. 중국이 세계 최초로 메탄 로켓 발사에 성공한 겁니다. 지난해 12월, 첫 비행에 실패한 이후 두 번 만입니다. 주췌 2호는 산화제인 액체산소와 함께 액체메탄을 연료로 사용합니다. 로켓은 주로 케로신, 즉 등유를 연료로 사용하는데 케로신은 연소 후 엔진 내부에 탄소 찌꺼기가 달라붙어 오래 되면 엔진 배관을 막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반면 청정 연료인 메탄은 연소 후 찌꺼기가 거의 남지 않아 엔진을 오랫동안 여러 번 쓸 수 있게 됩니다. 로켓 재활용을 위해서는 메탄 연료 기술이 중요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 [다이 젱 / 주췌 2호 개발 부본부장 : 이 엔진은 후저우의 테스트 베드에서 총 2,800초 동안 7번 작동했으며, 마지막에는 약간의 탄소 축적만 있었습니다. 로켓이 정비가 필요해질 때까지 오랜 시간 작업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런 점은 재사용 로켓에 매우 적합합니다.] 또 메탄은 케로신보다 가격이 저렴해 로켓 연료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주췌 2호는 메탄을 이용해 추진체 비용을 50%에서 최대 90%까지 낮췄습니다. 이런 이유로 최근 스페이스X와 렐러티비티 스페이스 등 미국 민간 우주기업들도 잇따라 메탄 로켓 발사를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했습니다. 중국이 이번 성공으로 메탄 로켓 기술에서 세계 최고 수준임을 입증하게 되면서 우주 패권 경쟁에서도 힘을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YTN사이언스 이동은입니다. YTN 이동은 (d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 ▶ 제보 하기 :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합참 "北 주장 군사 정찰위성 발사"...석 달 만에 3차 발사 / YTN

7325
65
30
00:01:48
21.11.2023

[앵커] 북한이 군사 정찰위성으로 보이는 발사체를 쏘아 올렸습니다. 앞서 2차례 발사에 실패한 이후 석 달 만에 3차 발사를 시도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최민기 기자! 먼저 자세한 내용 전해주시죠. [기자] 네, 북한이 조금 전 군사 정찰위성을 발사했습니다. 북한이 남쪽 방향을 향해 북한이 주장하는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다고 합참이 조금 전인 밤 10시 47분쯤 밝혔습니다. 군사 정찰위성 발사가 맞는다면 이번이 3차 발사로, 지난 8월 24일 2차 발사 이후 석 달 만에 이뤄진 발사입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주장하는 군사 정찰위성을 발사했다는 것 외에 발사 시점 등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는데요. 앞서 북한은 일본 정부에 22일 0시부터 이달 말 안에 위성을 발사할 예정이라고 통보했는데 이보다는 이른 시각에 발사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앞서 지난 5월 31일 1차 발사를 하고 8월 24일 2차 발사를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했습니다. 이후 북한은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해 지난달 안에 3차 발사에 나설 것이라고 예고했지만, 예고한 기간 내에 발사 시도를 하지 못했는데요. 군 당국은 그동안 북한이 러시아의 기술 지원을 받았고 이를 통해 엔진 문제를 거의 다 해소한 것으로 파악했는데요. 이어 합참은 지난 20일 북한의 3차 발사가 임박했다고 판단하자 이례적으로 사전 경고성명을 내기도 했습니다. 북한이 정찰위성 발사를 강행할 시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공언해온 만큼, 정부는 대응 차원에서 9·19 군사합의 일부 효력정지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발사의 성공 여부를 포함한 구체적 내용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는데요. 자세한 소식은 확인되는 대로 전해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통일외교안보부에서 YTN 최민기입니다. YTN 최민기 (choim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 ▶ 제보 하기 :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현장영상]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3차 시험 발사 성공…“국내 기술로 만들었어요” / KBS 2023.12.04

12336
127
24
00:01:34
04.12.2023

국방부는 오늘(4일) 오후 2시 제주 해상에서 국내 기술로 개발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의 3차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작년 3월(1차), 12월(2차) 시험발사 때는 위성 대신 '더미'를 탑재했지만 이번에는 민간 상용 위성을 탑재해 우주 궤도에 진입시켰습니다. 발사체에서 분리된 위성체는 성공적으로 궤도에 진입했고, 곧 지상국과 교신할 예정입니다. 탑재된 위성은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100kg급 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으로 고도 650km 상공의 지구 궤도를 돌며 관측 활동을 하게 됩니다.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 중인 고체 추진 우주발사체는 1∼3단은 고체 연료, 4단은 액체 연료를 사용합니다. 작년 1, 2차 발사 때는 2, 3, 4단 추진체를 시험했고, 이번에는 1, 3, 4단 추진체를 시험했습니다. 2025년 최종 시험발사 때는 1∼4단 추진체를 모두 갖추고 실제 위성을 쏘아 올리는 시험을 하게 됩니다. 고체 연료 발사체는 구조가 단순하고 저장과 취급이 용이하며, 저가로 7일 이내로 신속 발사가 가능합니다. 액체 연료 로켓은 저장이 어렵고 발사 준비도 오래 걸리지만, 고체 연료 발사체에 비해 무거운 위성도 궤도에 올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체 발사체의 경우 탑재 중량이 가벼운 저궤도용 관측·정찰위성 발사에 적합합니다. 국방부는 특히 "북한이 UN안보리 결의를 위반하여 정찰위성을 발사하는 등 안보위협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 하에서, 이번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발사 성공은 한국형 3축 체계의 핵심인 우주기반 감시정찰능력 확보를 가속화 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국방부는 이와 함께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개발을 마치면 관측과 정찰을 위한 소형 위성을 적기에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게 된다"며 "향후 탑재 중량 증대를 위한 대형화 기술도 개발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군 관계자는 "대한민국의 고체 연료 로켓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북한에서 만든 것(고체 연료 추진체)보다 1.5배 이상 추력이 크다"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의 차이점에 대해선 "우주발사체와 ICBM은 기반 기술은 같지만 목적 자체가 다르다"면서 "이 발사체는 우주발사체로 설계했고 사용할 것이며 전용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 이메일 : kbs1234🤍kbs.co.kr #우주발사체 #로켓 #국방부

[핫2]北 위성 기습 발사…9·19 합의 끝났다 | 김진의 돌직구쇼

4944
169
27
00:07:23
22.11.2023

[핫2]北 위성 기습 발사…9·19 합의 끝났다 중앙 북한 한밤 정찰위성 쐈다 조선 北 위성 기습 발사…9·19 합의 끝났다 동아 北, 정찰위성 기습 발사…예고보다 앞당겨 도발 ○ 영상 보기 🤍 ▶채널A뉴스 구독 🤍 [채널A 뉴스·시사 프로그램|유튜브 라이브 방송시간] 〈평일〉 08시 00분 라디오쇼 정치시그널 (유튜브 라이브) 08시 50분 김진의 돌직구 쇼 10시 20분 김진의 더라방 (유튜브 라이브) 12시 00분 뉴스A 라이브 15시 50분 강력한4팀 17시 20분 뉴스TOP10 19시 00분 뉴스A 〈주말〉 12시 00분 토요랭킹쇼·뉴스A 라이브 17시 40분 뉴스TOP10 19시 00분 뉴스A #채널A뉴스 #핫2 #북한 #위성발사 ▷ 홈페이지 🤍 ▷ 페이스북 🤍 ▷ 카카오스토리 🤍

스타십 2차발사! 이렇게 바뀌었다! 과연 화성으로 갈 수 있을까?

110397
2041
207
00:21:45
22.11.2023

지난 11월 18일 미국 SpaceX의 스타십 2차 발사가 이루어졌습니다. 1차 발사에는 무엇이 문제였는지? 2차 발사에서 개선된 점과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는? 뜨거운 스타십 2차 발사의 그 뒷이야기를 항성님이 긴급하게 다뤄봅니다! ◆ 2023 신상 제임스웹 우산 & 텀블러 & 티셔츠! 🤍 #스페이스x #spacex #스타십 #일론머스크 #항성 ◆ Thanks to Editor: 조주현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 안될과학 커뮤니티 🤍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이슈 점검] 북한 위성 발사 성공! 진짜 군사적 의미는 뭘까? #북한군사정찰위성 #천리마1형 #만리경1호 #러시아 #샤를세환 #이세환

115549
4758
634
00:15:14
07.12.2023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샤를 세환이 제공하는 밀리터리의 세계. 무기, 전쟁사, 밀리터리 이슈 등 밀리터리에 대한 모든 것을 총 망라한 종합 밀리터리 채널 광고 및 섭외 문의 : charlesmililab🤍daum.net #샤를세환 #이세환 #샤를의군사연구소 #밀리터리 #무기 #전쟁사 샤를의 군사연구소는 '연합뉴스'와 저작권에 대한 업무협의 계약을 채결했습니다.

고체연료 발사체 시험발사 성공…우주 감시능력 확보 가속화 [MBN 뉴스7]

7924
181
15
00:02:06
04.12.2023

【 앵커멘트 】 지난해 12월 30일, 저녁 하늘에 갑작스럽게 나타난 미확인 비행체 기억하시나요? 모의 위성을 실은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발사였는데 오늘(4일) 실제 위성을 탑재한 3차 발사가 성공했습니다. 우리 군이 계획 중인 고체추진 군사정찰위성 개발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입니다. 권용범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제주 남쪽 4km 해상의 바지선에서 발사체가 화염과 연기를 내뿜으며 하늘로 솟구칩니다. 우리 군과 민간기업이 위성과 발사체 기술을 연계해 만든 고체추진 발사체가 3차 시험발사에 성공했습니다. 발사체에 실린 해상도 1m급, 무게 약 100kg 위성은 우주궤도에 진입한 뒤 1시간 45분 만에 첫 교신이 이뤄졌습니다. 오후 5시 38분에는 지상관제센터와 쌍방교신까지 성공했습니다. 1, 2차 발사 때는 모의 위성을 탑재해 2~4단 추진체를 시험했는데, 이번 발사는 실제 위성을 탑재했고 고체연료를 사용한 1단 추진체를 시험했습니다. 고체연료는 액체보다 저장이 쉽고 낮은 비용으로 빠른 발사가 가능해 저궤도용 정찰위성에 적합합니다. 4단짜리 발사체에 탑재한 500~700kg 위성을 궤도에 올린 뒤 1.5톤까지 위성 무게를 늘리는 게 군 당국의 최종 목표입니다. ▶ 인터뷰 : 전하규 / 국방부 대변인 - "완전히 저희가 기술을 확보하게 되면 그런(고체추진) 발사체로도 또 우리가 필요한 위성들을 궤도에 올릴 수 있을 것으로…." ▶ 스탠딩 : 권용범 / 기자 - "국방부는 이번 발사 성공을 통해 한국형 3축체계의 핵심인 우주기반 감시정찰능력 확보를 가속화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MBN뉴스 권용범입니다." [dragontiger🤍mbn.co.kr] 영상취재 : 구민회·김현석 기자 영상편집 : 이동민 그래픽 : 이새봄 화면제공 : 국방부 #MBN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국방부 #김주하앵커 #권용범기자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 📢 MBN 유튜브 커뮤니티 🤍 MBN 페이스북 🤍 MBN 인스타그램 🤍

[속보] 군, 제주 해상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발사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2941
35
5
00:00:30
04.12.2023

[속보] 군, 제주 해상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발사 - 민간 제작 실제 위성 탑재…성공시 독자 우주능력 확보 군이 오늘(4일) 오후 2시쯤 제주 인근 해상에서 고체연료 추진 우주 발사체를 쏘아올렸습니다. 작년 3월과 12월에 각각 1·2차 시험발사에 성공한 지 약 1년 만에 3차 발사를 한 건데요. 앞선 1·2차 때와 달리 이번 발사체에는 민간 위성이 탑재됐습니다. 만약 발사가 성공하면 우리 군은 독자 우주능력 확보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평가됩니다. #제주해상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위성탑재 #시험발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

[자막뉴스] 발사 15분 만에 '박살'...日, 재도전에도 '눈물' / YTN

2916210
10954
4955
00:01:58
08.03.2023

일본의 신형 로켓이 기세 좋게 솟구쳐 오릅니다. 기존 대형 로켓을 대체하기 위해 10년에 걸쳐 약 2조 원을 들여 개발한 것입니다. 지구 관측위성을 싣고 날아가던 로켓은 시간이 지나면서 힘을 받지 못한 채 꺾이기 시작합니다. 1단계 연소 후 다음 엔진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통제센터 : 2단 엔진 점화가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상황을 계속 지켜보고 있습니다.] 통제센터는 결국 발사 15분 만에 로켓에 파괴 명령을 내립니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통제센터 : H3 로켓에 파괴 명령을 전송했습니다. 임무를 완수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 로켓은 당초 지난 2020년 발사 예정이었지만 엔진 등 각종 문제로 수차례 미뤄졌습니다. 지난달에도 발사 직전 중단되는 등 우여곡절 끝에 이뤄진 첫 발사가 실패로 끝난 겁니다. 이보다 앞서 지난해 10월 시도한 일본의 소형 로켓 발사도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우주 개발 시장을 염두에 두고 위성 발사에 공을 들여온 일본 정부로서는 큰 타격을 입게 된 셈입니다. 일본 정부는 "국민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죄송하다"고 밝히고 발사 실패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세계 최초로 3D 프린터로 만든 민간 개발 로켓이 발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조쉬 브로스트 / 3D 프린터 로켓 개발업체 부사장 : 우리 로켓의 85%는 3D 프린터로 제작됐습니다. 이보다 앞선 로켓 중 3D 프린터 제조 비율이 가장 높았던 것은 아마 4% 정도일 겁니다. 그래서 이것은 커다란 변화입니다.] 개발사 측은 보다 저렴한 비용에 우주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인류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YTN 이경아입니다. ▶ 기사 원문 : 🤍 ▶ 제보 하기 :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북한 인공위성 발사체 발사..서해 및 필리핀 동쪽 해상 낙하물 예상...한미일 "공조 통해 필요한 조치" - [MBC 뉴스속보] 2023년 11월 21일

60230
384
30
11:04:26
22.11.2023

북한이 당초 예고대로 인공위성 로켓 발사를 단행했습니다. 앞서 북한은 22일부터 내달 1일 사이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21일 새벽 일본 정부에 통보했습니다. 낙하물 등이 우려되는 곳은 북한 남서쪽의 서해 등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해상 1곳으로, 모두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밖입니다. 북한은 지난 5월에 발사 통보 이틀만인 31일 1차 발사에 나섰고, 8월엔 `8월 24∼31일 중 발사`를 알리고는 역시 이틀 뒤인 24일 2차 발사를 감행했습니다. 두 차례 발사는 모두 실패했습니다. 국방부는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는 모든 미사일 발사를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즉각 중단하라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일본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정보 수집과 분석에 만전을 기해 국민에게 적절히 정보를 제공하고 한국과 미국 등과 협력해 대응할 것 등을 관계 부처에 지시한 바 있습니다. #북한 #인공위성 #로켓 #발사 #정찰위성 #안보리결위위반 #919합의 #뉴스속보 #MBC

이번엔 실제 위성 실어 발사‥'고체 발사체' 3차 시험도 성공 (2023.12.04/뉴스데스크/MBC)

6620
108
24
00:02:06
04.12.2023

그동안 고체연료라고 하면 주로 북한의 탄도미사일 얘기를 할 때 많이 들었죠. 그런데 이번엔 우리 군이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발사에 성공했습니다. 실제 위성까지 실어서 쏘아 올렸는데요. 이게 어떤 의미인지 먼저 시험 발사 소식 듣고, 스튜디오로 취재기자 불러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고체발사체 #우주발사체 #시험발사

[속보] 고체연료 기반 우주발사체 3차 시험발사 성공…소형 위성 궤도 안착 [에디터픽] / YTN

173299
1321
62
10:13:32
04.12.2023

軍, 고체연료 기반 우주발사체 3차 발사…소형 민간위성 탑재 / 속보 고체연료 기반 우주발사체 3차 시험발사 성공…소형 위성 궤도 안착 / 김문경 기자 남북 '정찰위성 경쟁' 본격화?…한반도 긴장 고조 / 조한범 출연 주혜민 (line1111🤍ytn.co.kr)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소형위성 #ytn실시간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합참 "북한 주장 군사정찰위성 발사" (2023.11.21/뉴스특보/MBC)

6343
68
29
00:02:11
21.11.2023

조금 전 북한이 정찰위성을남쪽 방향으로 발사했다고 군 당국이 발표했습니다. 북한은 당초 내일 0시 이후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통보했었는데요, 보도국 연결하겠습니다. 신수아 기자, 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

우리나라 독자개발 SLBM 발사 장면#Shorts

172525
2555
252
00:00:33
15.09.2021

#Shorts #SLBM #대한민국

[속보] 북한, 군사정찰위성 발사 감행…2차발사 실패한 지 89일만/ 정부, 9·19 군사합의 일부 효력 정지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80648
607
14
11:47:50
22.11.2023

우리 군은 북한이 남쪽 방향으로 북한이 주장하는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북한은 지난 5월과 8월 두 차례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나섰지만 모두 실패했습니다.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의 군사정찰 위성 발사 준비를 사전에 포착하고, 이례적인 사전 경고 성명을 내기도 했는데요. [속보]로 자세히 알아봅니다. ▲[속보] 합참 "북, 남쪽 방향으로 군사정찰위성 발사" ▲북한, 정찰위성 3차 발사…북 "궤도에 정확히 진입" (이은정 기자) ▲"성공" 과시한 북한…러시아 '로켓 기술' 지원 받았나 (지성림 기자) ▲북한 위성발사 8차례 시도…실패·성공 사례는(김경목 기자) ▲정찰위성 날아오른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어떤 곳?(한채희 기자) ▲정부, 9·19 군사합의 일부 효력정지 절차 착수 ▲美 "北 발사체 규탄…발사 성공 여부 검증 중" (정호윤 워싱턴 특파원) ▲[뉴스초점] 북한, 정찰위성 발사 세 번째 시도…러 기술 지원 가능성 - 전화연결 :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 #합참 #북한 #군사정찰위성 #도발 #속보 ▣ 연합뉴스TV 두번째 채널 '연유티' 구독하기 🤍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

자체 개발 최초 정찰위성 발사 성공 / KBS 2023.12.02.

10732
147
62
00:02:26
01.12.2023

[앵커] 국내 기술로 개발한 우리 군의 정찰위성이 오늘 새벽 성공적으로 우주 궤도에 올려졌습니다. 이 위성은 지상에 있는 30센티미터 크기까지 식별할 수 있어 우리군의 독자 정찰 능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현지에서 황동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3, 2, 1."] 하얀 연기를 일으키며 발사체가 지상에서 치솟습니다. 발사체는 화염을 내뿜으며 우주로 날아갑니다. 이 발사체는 스페이스X사의 팰컨9로 우리 군의 정찰위성을 싣고 있습니다. 정찰위성은 한국 시각으로 새벽 3시 19분쯤 발사돼 페어링 분리 등을 거쳐 발사 14분 만에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습니다. [조셉 빈/주민 : "발사는 대단했어요. 좋은 쇼였습니다. 한국 우주국에게는 기쁜 소식입니다."] 발사 후 한 시간여 뒤에는 북유럽 위성 기지국과 정상적으로 교신했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오전 9시 40분쯤에는 국내 지상국과도 교신할 예정입니다. 이 정찰위성은 항공우주연구원과 국립과학연구원, 국내업체가 주도해 개발했습니다. 설계와 조립 시험이 모두 국산 기술로 이뤄졌고 부품도 60~70%가량이 국산품입니다. 정찰위성 계획을 세우고 개발에 착수한 지 6년만입니다. 이 정찰위성에는 30년 동안의 다목적 실용위성 개발 경험을 통해 얻은 초고해상도 전자광학, 적외선 기술이 적용됐습니다. 이로 인해 지상 수백 킬로미터 위에서 30센티미터 크기까지 식별할 수 있습니다. 우리 군 당국은 이번 발사를 통해 북한의 주요 위협을 독자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최초의 정찰위성을 확보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우리 군은 4개월에서 6개월의 시험 운용 과정을 거친 뒤 내년 상반기 중으로 이를 전력화한다는 계획입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촬영기자:유원규/영상편집:박철식/자료조사:최정윤 양승우 ▣ KBS 기사 원문보기 :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 이메일 : kbs1234🤍kbs.co.kr

[세상만사]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시험발사 성공…민간위성 탑재

62854
931
63
00:16:31
04.12.2023

그제 국내 기술로 개발한 우리 군의 정찰위성 1호기가 성공적으로 발사된 데 이어 오늘은 국방부가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3차 시험발사에 성공했습니다. 지난해 1, 2차 시험 발사에 비해 얼마나 발전했고 이번 발사 성공에 어떤 의미가 있는 건지 전문가 모시고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장영근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 나와 계십니다. YTN dmb 채널을 지금 바로 구독하세요. ▶ YTN dmb 유튜브 채널 구독 🤍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시험발사성공 #민간위성탑재 #국방부 [저작권자(c) YTN DMB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독자 개발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킬 체인의 눈 확보 / YTN

392156
4273
523
00:30:26
01.12.2023

■ 진행 : 정지웅 앵커, 이은솔 앵커 ■ 출연 : 김경근 박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24]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우리가 독자 개발한 군정찰위성 1호기가 잠시 뒤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발사됩니다. 군은 2025년까지 모두 5기의 정찰위성을 쏘아 올려 킬 체인의 눈을 완성한다는 계획인데요. 이번 위성 발사의 책임자이신 국방과학연구소, ADD 위성체계단장인 김경근 박사님과 함께 관련 소식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앵커] 지금 현지에서 발사 준비를 하고 있는 화면을 저희가 잠시 뒤에 보여드릴 겁니다. 지금 보시는 화면이 잠시 뒤에 발사를 할, 군정찰위성이 발사될 반덴버그 우주기지입니다. 지금 이 미국에 있는 이 우주기지는 어떤 곳이죠? [김경근] 저기는 원래 공군기지였습니다. 1940년, 50년대부터 미사일 시험이나 그런 걸 하던 공군기지였는데 저기서 그때부터 ICBM도 시험하고 다른 미사일도 시험하고 그다음에 우주발사체도 시험했던 곳입니다. 미국에는 저런 우주군기지가, 지금은 공군기지가 우주기지로 바뀌었고요. 반덴버그는 미국의 서쪽에 있고 그다음에 캘리포니아 기지는 동쪽에 있는 우주기지입니다. [앵커] 반덴버그의 우주기지의 실시간 화면 지금 보고 계신데요. 발사 시간이 공지가 됐죠. 우리 시간으로 새벽 3시 19분, 잠시 뒤로 계획이 되어 있습니다. 별다른 문제가 없으면 예정대로 진행이 되는 겁니까? [김경근] 현재까지는 계획대로 그대로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날씨도 문제가 없다고 이야기되고 있고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사실 우리나라에도 발사기지가 남쪽에 있지 않습니까? 그런데 왜 이렇게 미국까지 가서 발사를 하는 이유가 있습니까? [김경근] 우선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저희가 425 사업을 하면서 위성을 개발할 때 그 당시에 국내에서 발사할 수 있는 발사체가 아직 개발이 덜 돼 있었습니다. 그래서 부득이하게 해외 발사체를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고 몇 년 후에 저희 발사체들이 많이 만들어지면 그때는 상황이 달라질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지금 말씀해 주신 것은 그때 기준으로 저희가 개발을 시작했기 때문에 지금 미국까지 가서 발사를 한다는 말씀이시죠? [김경근] 맞습니다. [앵커] 발사가 원래 이틀 전이었는데요. 지금 연기가 됐습니다. 이건 어떤 이유 때문에 연기가 됐죠? [김경근] 그 당시에 지상의 날씨는 좋았는데 고공 날씨가 바다 쪽에서 육지 쪽으로 바람이 많이 분다고 해서 혹시나 올라왔다가 저발사체는 1단이 다시 되돌아오는 발사체거든요. 그래서 문제가 생겼을 때 육지에 피해가 올 수도 있다라는 미국 연방항공청에서 그런 통지가 있어서 발사를 연기하게 된 겁니다. [앵커] 시간이 정말 얼마 남지 않았는데요. 발사할 위성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보죠. EO/IR 위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게 별도의 명칭은 없는 것인지 또 어떤 특성을 가졌는지 궁금합니다. [김경근] 우선 EO/IR 위성은 EO라는 건 일렉트릭 옵티컬, 전자광학, 그러니까 사람 눈으로 보는 것과 똑같은 그런 영상을 주는 거고요. 그다음에 IR은 인프라 레드라고 해서 적외선입니다. 그런 부분들은 저희가 통상적으로 광학이라고 말하는 부분이고요. 그런데 425, EO/IR이라고 현재 쓰고 있는데 사실은 저희가 명칭을 지어야 한다는 생각을 최근에 하게 됐습니다. 그래서 명칭을 하나 추천해 주시면 저희도... (중략) ▶ 기사 원문 : 🤍 ▶ 제보 하기 :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누리호 3차 발사 카운트다운~18분58초 정상비행.. 위성8기 모두 분리 성공!! 나로우주센터 현장 하이라이트 영상 (2023.05.25) 누리호3차발사 성공!!

193844
2460
259
00:24:08
25.05.2023

#누리호발사 #누리호 #누리호3차발사 #나로우주센터 #누리호발사실시간 #인공위성 #한국형발사체 #K로켓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흥나로우주센터 #여수MBC

독자개발 첫 군사정찰 위성 내일 새벽 발사...기립장면 공개 / YTN

118143
953
340
00:01:52
01.12.2023

내일 새벽 독자개발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 美 반덴버그 기지서 발사…스페이스 X, 사진 공개 발사 위성은 EO/IR 위성…해상도 30∼50㎝ 급 EO/IR 위성, 기상 제한…내년부터 SAR 위성 발사 [앵커] 우리 시간으로 내일 새벽, 미국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우리가 독자 개발한 첫 군사정찰위성이 발사됩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등을 감시 정찰하기 위한 킬 체인의 핵심수단인데, 내일 첫 발사를 시작으로 앞으로 5기의 군사정찰위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김문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기지 위성 발사대에 서 있는 우리 군의 첫 군사정찰위성입니다. 태극 문양에 코리아라는 글씨가 선명한데, 미 스페이스 X사의 우주발사체 팰컨-9에 실려 있습니다. 스페이스 X사는 관련 사진을 공개하며 내일 새벽 3시 19분에 발사된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군사정찰위성은 전자광학과 열감지 기능의 적외선 방식인 EO/IR 위성으로 해상도는 30-50㎝급으로 알려졌습니다. 수백㎞ 고도에서 30㎝ 크기의 지상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성능입니다. [권용수 / 前 국방대 교수 : 그동안 우리가 항공기 중심의 감시정찰 능력을 우주로 확대함으로써 우주 작전의 첫발을 내딛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다만 EO/IR 위성은 기상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내년부터는 이를 극복한 SAR 위성 4기가 추가로 발사됩니다. SAR 위성은 EO/IR 위성과 달리 레이더를 쏴 영상을 획득하기 때문에 주-야간은 물론 악천후에도 24시간 감시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5기의 군사정찰위성을 확보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기지는 물론 유사시 대응 가능한 킬 체인의 핵심수단으로 운용할 방침입니다. 지난 2108년부터 425 사업의 이름으로 진행 중인 5기의 독자 군사정찰위성 확보 사업에는 모두 1조2천여억 원 정도가 투입될 예정입니다. YTN 김문경입니다. 영상편집 : 정치윤 화면제공 : 국방부 YTN 김문경 (mk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 ▶ 제보 하기 :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현장] 한반도 상공에 또 의문의 비행체? 軍 "고체연료 발사체 시험 발사 성공"/뜨거워진 남북 우주 '정찰 전쟁'/2023년 12월 4일(월)/KBS

239195
1993
103
07:14:58
04.12.2023

오늘 제주 남쪽 해상 곳곳에서 의문의 비행체가 포착됐다는 제보가 잇따랐습니다. 확인 결과, 우리 군이 시험 발사한 '고체연료 우주발사체'였습니다. 우리 군은 오늘(4일) 오후 2시쯤 제주 해상에서 고체추진 우주 발사체를 시험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3월 1차, 12월 2차에 이은 3번째 시험 비행이었습니다. 2차 때는 UFO 소동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앞선 1, 2차 발사에는 가짜 위성, 이른바 '더미'를 사용했지만, 3차 발사체는 한화시스템에서 제작한 소형 위성 발사체를 싣고 날아올랐습니다. 이번에 사용된 위성은 100kg급 초소형으로, 투입 고도 650km의 저궤도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 군이 지난주말 정찰 위성을 쏜 데 이어 고체연료 발사체 시험 발사에까지 나서면서 남북 '정찰 전쟁'이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고체연료우주발사체 #제주해상 #UFO소동 #한화 #국방과학연구소 ▣ KBS뉴스 유튜브 구독하기 : 🤍 ▣ KBS뉴스 유튜브 커뮤니티 : 🤍 ▣ KBS 뉴스 ◇ PC : 🤍 ◇ 모바일 : 🤍 ▣ 인스타그램: 🤍 ▣ 페이스북: 🤍 ▣ 트위터: 🤍 ▣ 틱톡 : 🤍

군, 고체연료 추진 로켓 발사…민간 위성 탑재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6633
140
21
00:02:02
04.12.2023

군, 고체연료 추진 로켓 발사…민간 위성 탑재 [앵커] 우리 군이 한국형 고체 추진 우주발사체를 조금 전 제주 남쪽 해상에서 시험 발사했습니다. 이번 시험발사는 3번째로, 앞선 1·2차 때와 달리 민간에서 제작한 소형 위성이 탑재돼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은정 기자. [기자] 네, 국방부는 오늘(4일) 오후 2시쯤, 제주 남쪽 해상에서 고체 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군은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를 지난해 3월과 12월에 각각 1·2차 시험발사해 성공했습니다. 이번 3차 발사에는 민간에서 제작한 소형 위성을 탑재했다는 게 지난 1·2차 때와 차이점입니다. 탑재된 위성은 지구관측용 소형 SAR 위성으로 투입고도는 약 650km가 될 전망입니다. 군은 앞서 지난 2일 새벽 미국 밴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의 발사체를 빌려 첫 군사정찰위성도 발사했는데요. 아직 최대 6개월 동안의 운용시험평가가 남았지만, 국내·외 지상국과 교신하며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한 바 있습니다. 이번 시험발사는 국내 연구진이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발사체를 통해 이뤄졌는데요. 고체연료 추진 발사체는 액체 연료를 쓸 때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준비 기간이 짧아 일주일 이내로 신속하게 발사할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고체 추진 우주발사체 개발이 완료된다면, 군은 관측·정찰을 위한 소형위성을 적기에 발사할 수 있는 자체 능력을 보유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군은 이번 시험 발사 결과를 토대로 2025년 내 소형 위성을 고체 연료 발사체를 통해 고도 700km 이하 지구 저궤도에 안착시키는 것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만약 성공한다면, 우리 군의 독자적인 우주 정찰·감시 능력이 대폭 강화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ask🤍yna.co.kr) #고체연료 #로켓 #발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

우리 군 첫 독자 정찰위성 발사...지상국 교신도 성공 / YTN

80814
771
229
00:02:27
01.12.2023

위성 1호기, 새벽 3시 19분 미 반덴버그 기지서 발사 새벽 3시 33분 ’위성 발사체 분리·목표 궤도’ 진입 노르웨이 지상국과도 최초 교신…"발사 성공적" [앵커] 우리 군의 첫 독자 정찰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됐습니다. 현재 궤도에 정상적으로 안착한 위성은 해외 지상국과도 최초 교신하면서 이번 발사 임무는 성공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최민기 기자! 이번 정찰위성 발사는 성공했다고 볼 수 있는 겁니까.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리 군의 첫 독자 정찰위성, 오늘 새벽에 성공적으로 발사됐습니다. 군사정찰위성 1호기는 스페이스X의 발사체 '팰컨9'에 탑재돼 미국 반덴버그 우주기지에서 우리 시각으로 새벽 3시 19분 발사됐는데요. 발사 2분 23초 후 1단 추진체가 분리됐고 이어 20초쯤 뒤에는 페어링도 정상 분리됐습니다. 이어 새벽 3시 33분, 위성은 발사체로부터 분리돼 목표 궤도로 정상진입했고요. 새벽 4시 37분에는 노르웨이의 지상국과도 최초 교신이 이뤄지면서, 이번 발사는 성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위성은 비행을 계속하다 오전 9시 40분쯤에는 국내 지상국과도 교신을 시도할 예정인데요. 국방부는 이번 발사 성공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정보감시정찰 능력을 확보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그렇다면 정찰위성은 언제쯤 정찰 임무를 수행합니까? [기자] 네 이번에 발사된 군 정찰위성 1호기는 앞으로 한반도 상공을 하루 2번 정도 지나면서 북한 지역에 대한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위성에는 실제 보는 것과 유사하게 촬영하는 광학 장비가 탑재됐는데, 30㎝ 단위 물체를 식별할 수 있을 만큼 고해상도인 것으로 전해집니다. 다만 장비들 상태를 하나씩 점검하고, 위성체의 영상품질을 개선하는 등의 안정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군은 위성은 우주궤도시험과 군 주관으로 진행하는 운용시험평가를 거쳐 본격적으로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요. 이 과정이 짧게는 4개월에서 6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보여서 실제 전력화는 내년 상반기쯤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우리 군 정찰위성 발사에 앞서 북한도 지난 21일 정찰위성 발사에 성공했는데요. 하지만 북한 위성의 해상도는 3m 정도의 조악한 수준으로 알려져 실제 남북의 정찰감시 능력 차이는 상당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지금까지 국방부에서 YTN 최민기입니다. YTN 최민기 (choim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 ▶ 제보 하기 :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우리나라 첫 독자 정찰위성 2일 발사…"서브미터급 해상도" / SBS 8뉴스

116100
1011
429
00:02:16
01.12.2023

〈앵커〉 우리나라의 첫 군사정찰위성이 내일(2일) 새벽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사됩니다. 지상에 있는 30c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고성능 카메라가 이 위성에 장착돼 있습니다. 군은 2025년까지 5대의 정찰위성을 쏘아 올린다는 계획입니다. 최재영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미국 스페이스X사가 오늘 공개한 사진입니다. 우리 군의 첫 정찰위성 1호기가 탑재된 팰컨9 발사체 모습인데, 우리 시간 내일(2일) 새벽 3시 19분,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될 예정입니다. 발사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발사 2분 22초 뒤 1단 추진체가 분리되고, 이후 20초 뒤 위성 보호 덮개인 페어링이 분리됩니다. 마지막으로 2단 추진체에서 분리된 정찰위성이 궤도에 진입하면 발사 약 1시간 18분 뒤 지상국과 첫 교신을 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12월 북한이 정찰위성 시험 과정에서 찍었다고 공개한 위성사진인데, 우리 다목적위성 아리랑 3호가 2013년에 찍은 사진이 한눈에 봐도 훨씬 선명합니다. 내일 발사될 정찰위성 1호에는 아리랑 3호보다 해상도가 3~4배 좋은 고성능 광학, 적외선 카메라가 장착됐는데, 지상 30c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신종우/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 북한의 만리경 1호 위성과는 전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서브미터급 해상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군사적으로 큰 효용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군 관계자는 궤도에 올라간 뒤에도 상태와 통신을 점검하고 영상 초점 맞추는 작업까지 마쳐야 한다며, 전력화까지는 4개월에서 6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군은 내일 발사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부터 2025년까지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성능 영상 레이더가 탑재된 정찰위성 4대를 추가 발사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 정상보, 양상편집 : 조무환, CG : 임찬혁·조수인, 영상출처 : 'SpaceX') ☞더 자세한 정보 🤍 #SBS뉴스 #8뉴스 #정찰위성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 ▶SBS 뉴스 라이브 : 🤍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인스타그램: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Назад
Что ищут прямо сейчас на
발사 성게 Vina 大華 Gorgo Music روتين امتحانات التوجيهي Bar hide fura olho 短暫 grenbaud lobi Isabelle Huang pueblo robloxgaming ΟΧΙ Obelisco radiador HIMservice 차트 보는 법 pokemon funny